I. 제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3D 프린팅의 개요
가. 3D 프린팅(3D Printing)의 정의
- 첨삭가공(additive manufacturing) 생산 방식으로 디지털화된 3차원 설계도에 근거하여 재료(플라스틱, 금속가루 등)를 층층이 쌓아 입체형 제품을 제조하는 프린트 기술
- 디지털 3차원 설계도를 기반으로 입체 단면을 1만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석 후, 파우더,액체,실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얇은 layer를 층층히 쌓아 올려 입체형 제품을 제조하는 프린트 기술.
나. 3D 프린터의 등장 배경
- 2009년 영국의 아드리안 보어에 의해 시작된 렙랩 프로젝트에서 3D 프린터 기술을 공개하여 다양한 프린터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
- 렙랩(replicating rapid prototype)은 첨삭가공 기법인 용착 조형 공정(Fused deposition modeling,FTM)을 사용하며 이를 FFF(Fused Filament Fabriction)이라 부름.(FDM 용어의 상표문제 미연방지)
- 개방형 디자인으로서 이 프로젝트의 모든 디자인은 GNU GPL로 배포됨.
다. 3D 프린팅 장점
장점 |
내용 |
비고 |
생산성 |
주물 없이 설계도면만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됨. |
CAD등의 Software이용 |
다양성 |
모양과 형태에 제한 없이 어떤 제품이든지 생산 가능 |
인체모형, 구두, 부품 |
개인화 |
개별 사용자의 요구 또는 특성에 맞는 맞춤형 제품 생산 가능 |
유아용 ~ 성인용 |
라. 3D 프린팅 특징
장점 |
내용 |
다품종 소량생산 |
하나의 물건만 찍어내도 적은 비용 |
모양 |
어떤 모양이든 자유롭게 만들어 낼 수 있음 |
프로토타입 |
프로토타입을 반복해서 만들어내는데 적합 |
II. 3D 프린터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
상세 설명 |
특징 |
빌드박스 (Build Box) |
모형 제작에 쓰이는 Regin, 파우더 등의 재료가 담기는 부분 |
합성수지,석고,나일론 등 |
프린터 헤드 |
재료를 녹이고 설계도면에 근거하여 분사하고 Layer를 쌓아 올림. |
접착액 분사, 자외선 분사 방식 |
3D 스캐너 |
입체 모형을 다각도에서 읽어 들이는 기능 |
접촉식, 비 접촉식 |
Elevator |
프린터 헤드가 입체 모양에 맞게 빛을 쏘이거나 재료를 분사 시 이동 수단 |
상하좌우 이동 |
Build platform |
제품을 쌓아 올리게 되는 바닥 지지 부분. |
|
III. 3D 프린팅 주요 기술 방식
분류 |
기술 |
조형방식 및 특징 |
액체기반 |
SLA (Stereolithography), Jetted Photopolymer, Ink Jet Printing |
- 저전력, 고밀도의 UV 레이저를 이용 - 빛을 받으면 고체로 변하는 폴리머 액체에 물체의 모양대로 레이저를 쏘아 얇은 막(Layer)을 생성함 - 막이 만들어지면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기 위해 칼날이 표면을 다듬게 됨 - 받침대는 막이 하나씩 완성될 때마다 모형을 아래로 조금씩 내리며 수평을 유지함 - 층을 모두 쌓아올려 형체가 완성되면 완전한 고체로 굳히는 과정을 거침 - 가장 널리 쓰이는 기술임 - 정확하고 세부적인 모형을 제작가능 - 액체 형태의 포토폴리머 (Photopolymer) 플라스틱을 원료로 사용함 - 중간 정도의 조형 속도 |
분말기반 |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DMLS(Direct Metal Laser Sintering), 3DP(Three Dimensional Printing) |
- SLA 방식과 거의 유사한 과정을 거치는데, 파우더 형태의 폴리머나 메탈 원료에 레이저를 쏴서 고형화시킴으로써 막(Layer)을 생성함 - 막이 형성되면 그 위에 파우더를 얇게 뿌리고 다시 레이저를 쏴서 새로운 막을 형성 - 플라스틱 폴리머 원료는 막을 층층이 쌓아올리면 그대로 모형이 완성 - 메탈 원료는 메탈 파우더 위에 플라스틱이 얇게 도포되어 있어 레이저를 쏴서 막이 형성되고 모형이 완성된 후에는 900도 이상의 용광로에 모형을 넣어 플라스틱 막을 분해시키고 금속을 침윤시켜 결합시킴 - 나일론, 유리섬유, SOMOS, 트루폼과 같은 다양한 원료와 함께 금속성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조형 속도 빠름 |
고체기반 |
FDM(Fused Deposition Modeling) |
- 와이어(wire) 또는 필라멘트 형태의 재료 사용 - 필라멘트 등의 열가소성 재료를 열을 가해 녹인 후 노즐을 거쳐 압출되는 재료를 적층하여 조형 |
LOM(Laminated Object Manufacturing) |
- 고체 필라멘트(실) 형태의 플라스틱이나 왁스 원료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얇은 막을 형성 - 노즐은 플라스틱을 녹일 수 있을 정도의 고열을 발산하며, 노즐을 통과한 원료는 신속하게 경화되어 아래 막 부분에 층층이 쌓이게 됨 - ABS,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왁스 등 여러 형태의 원료를 사용 가능 - 조형 속도 느림 | |
Polyjet |
- 왁스(wax) 성질을 가진 패럿(작고 둥근 알 또는 공 모양의 알갱이)을 재료로 사용 - 재료를 헤드에서 녹여 노즐을 통해 분사 |
VI. 3D 프린팅 비교
가. 전통적 제조 방식과 3D 프린팅 제조 방식 비교
비교 |
3D 프린팅 방식 |
전통적 제조 방식 |
개념 |
3D 설계 기반 입체적 구조의 Object 제작 |
원본과 동일한 복사본 제작 |
방식 |
적층형 방식, Layer by Layer |
금속, 모래 거푸집, 형틀 방식 |
재료 |
액체수지, 금속 파우더가루, 고형 필라멘트 |
플라스틱 액체, 금속액체 |
생산 |
다품종 소량생산 |
소품종 대략생산 |
비용 |
재료, 크기에 따른 비용 차이 발생 |
틀 제작에 일정비용 소요, 최소 제작 금액 고가 |
활용 |
산업 전 영역, (제조,의류,음식) |
고체형 부품제조 및 목업 제조 |
특징 |
1인 공장/기업 같은 창업 형태 가능 |
산업계 표준, 숙달 인력 풍부 |
나. 3D/2D 프린트 비교
비교 |
3D 프린팅 방식 |
전통적 제조 방식 |
입력 |
3D CAD 도면정보 |
Bit-Map, Vector, Graphic Image |
출력 |
입체적 Object |
2D 평면 프린팅 |
결과물 |
플라스틱, 금속 형상 |
흑백, 컬러 프린팅 용지 |
재료 |
액체, 고체, 파우더 |
종이 용지, OHP |
활용 |
음식, 의류, 의학, 제조 등 전 영역 |
문서작업, 이미지 출력 |
V. 3D 프린팅 시장 성장 촉진 및 장애 요인
성장 촉진 요인 |
성장 장애 요인 |
- 기술 발전: 3D 프린팅 성능 및 품질 향상 → 기술에 대한 인지도 및 관심도 향상 |
- 사용 편의성: 기존 프린터 대비 사용의 어려움. CAD 활용 역량 부족 |
- 가격 하락: HW, SW 및 공급 비용 하락 → 최종 제품 가격 하락 → 도입 촉진 |
- 인쇄 소요 시간: 기존 프린터는 인쇄 결과물을 즉시 손에 넣었으나 3D 제품의 인쇄에는 수 시간 혹은 수 일 소요 |
- 사용 소재의 개발 및 다양화: 초기 합성수지로 제한적이었지만 최근 나일론, 금속 분말, 콘크리트 등 사용 소재의 다양화로 활용 산업분야의 범위도 확대 |
- 특정 제품 인쇄에 필요한 소재 부족 및 높은 소재 가격(high-end 제품용의 경우 kg당 100~300 달러, low-end personal 제품용의 경우 kg당 15~35 달러) |
- 기본적인 CAD 소양을 갖춘 인력 확대 및 일반인이 사용하기 쉬운 3D 모델링 SW(Google의 'SketchUp', Autodesk의 '123D' 등)의 등장 |
- 법적 문제(총기류 같은 불법무기 제조), 디자인 재생산에 대한 저작권 문제 등 |
'정보관리기술사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0) | 2014.09.09 |
---|---|
반응형 웹 (0) | 2014.05.21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0) | 2014.05.12 |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0) | 2014.03.16 |
ajax(Asysnchronous JavaScript Xml) (0) | 201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