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인터넷을 통한 IT자원의 On Demand 서비스, Cloud Computing의 개요
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의 정의
- 서버, 스토리지 , SW등 IT자원들을 구매하여 소유하지 않고, 필요시 인터넷을 통하여 On-Demand 서비스 형태로 이용하는 방식
- 이용자의 모든 정보를 인터넷 상의 서버에 저장하고, 이 정보를 각종 IT기기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다는 개념
-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외부 고객들에게 고도의 확장성 및 유연성이 확보된 IT자원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컴퓨팅의 한 형태(가트너).
- Cloud : IT자원 + Xaas + Utility Computing + On Demand
나. 클라우드 컴퓨팅의 주요특징
구분 |
설명 |
표준화된 IT기반 기능 |
컴퓨팅, 저장장치, 네트워크, S/W등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IT자원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이외에 별도의 고객화 (Customization) 가 없으며,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표준을 따름 |
IP망을 통한 접근 |
IP망과 HTTP, REST, SOAP등 웹 기반컴퓨팅프로토콜을 활용하며 UI를 위해 OS에 중립적인 표준 웹 브라우저와 웹 표준을 지원 |
Always-on과 수요에 따른 확장성 지원 |
서비스제공자는 24시간 접근성과 고객 수요의 변화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컴퓨팅 자원을 가변성 있게 지원 |
사용량이나 광고기반 과금 |
무료 혹은 사용기반과금(Pay Per Use = Utility Computing) 장기계약이나 초기설치 비용 등 없음(광고, 주/월 단위 과금) |
Web 및 프로그램 기반 제어 Interface |
고객데이터원격호스트, RIA, 인터페이스(페이스북, MS virtual earth 3D 등) 제공 서버기반인터페이스로 XML과 REST 스타일 S/WConnection Standard(Flicker API, Amazon S3) 사용 |
사용자셀프서비스 |
서비스 제공자의간섭 없이 고객 스스로 필요한 서비스를 설치, 관리, 종결하고 사용자는 Web Interface나 Programmatic call을 통해 서비스 API에 접근 |
II.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의 구성도와 구성요소, 기술요소
가.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요소
구성요소 |
설명 |
User Interaction Interface |
클라우드사용자와 클라우드간의 인터페이스 역할 |
Services Catalog |
사용자가 요청할 수 있는 서비스의 리스트 |
System Management |
사용 가능한 컴퓨터 및 IT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요소 |
Provisioning Tool |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자원을 할당하고 준비 |
Monitoring & Metering |
컴퓨터 자원의 사용자별 사용량과 이에 따른 과금정보 생성을 위해 클라우드 시스템 전반의 트래킹 |
Servers |
서버는 시스템관리툴에 의해 관리되며 가상 또는 실제 서버 |
나.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요소
구분 |
개념 |
요소기술 |
가상화 기술 |
- 물리적인 H/W의 한계를 넘어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기술 - 여러대의 전산자원을 마치 한대처럼 운영하거나, 한대의 전산자원을 마치 여러대로 나누어서 이용. |
Resource Pool, Hypervisor, 가상 I/O, Partition Mobility |
대규모 분산처리 |
- 대규모(수천 노드 이상)의 서버 환경에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는 기술 |
MapReduce, Hadoop |
오픈 인터페이스 |
-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서비스 간에 정보 공유를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 -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SaaS, PaaS 등에서 기존 서비스에 대한 확장 및 기능 변경 등에 적용 |
SOA, OPEN API, Web Service 등 |
서비스 프로비저닝 |
-서비스 제공자가 실시간으로 자원을 제공하는 기술 - 서비스 신청부터 자원 제공까지의 업무를 자동화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의 경제성과 유연성 증가에 기여 |
자원 제공 |
자원 유틸리티 |
- 전산 자원에 대한 사용량을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는 기술 개념 |
Metering, Billing, 사용자 계정 관리 등 |
SLA |
- 외부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성 상 서비스 수준이라는 계량화된 형태의 운영 품질 관리 필요 |
서비스 수준 관리 체제 |
보안 및 프라이버시 |
- 외부 컴퓨팅 자원에 기업 또는 개인의 민감한 정보를 저장함에 따라 해당 정보에 대한 보안이 주요한 이슈로 부각 |
방화벽, 침입방 지기술, 접근권 한 관리 기술 등 |
다중 공유 모델 |
- 하나의 정보자원 인스턴스를 여러 사용자 그룹이 완전히 분리된 형태로 사용하는 모델 - 소프트웨어 서비스(SaaS)를 제공하는데 필수 요소 |
'정보관리기술사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0) | 2014.09.09 |
---|---|
반응형 웹 (0) | 2014.05.21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0) | 2014.05.12 |
3D 프린팅(3D Printing) (0) | 2014.05.01 |
ajax(Asysnchronous JavaScript Xml) (0) | 201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