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5017)
해운대 동백섬 누리마루 5D Mark3 sigma 17-35mm 해운대 동백섬 5D Mark3 sigma 17-35mm 해운대 동백섬 누리마루 APEC 하우스 5D Mark3 sigma 17-35mm 해운대 누리마루 APEC 하우스 5D MarkIII sigma 17-35mm 해운대 누리마루 APEC 하우스 오막삼 sigma 17-35mm 해운대 동백섬 등대 오막삼 sigma 17-35mm 해운대 동백섬 등대 5D Mark3 sigma 17-35mm 해운대 동백섬 5D Mark3 sigma 17-35mm 해운대 동백섬 인어공주상 5D Mark3 sigma 17-35mm 해운대 동백섬 인어공주상 오막삼 sigma 17-35mm
부산 송정해수욕장 뉴송정콘도민박 부산 송정해수욕장 뉴송정콘도민박 뉴송정콘도민박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각 방마다 사진들과 가격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뉴송정콘도민박은 홈페이지(http://www.songjin.co.kr/)에 적힌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예약을 해야됩니다. 부산 여행가서 하룻밤을 묶었던 뉴송정콘도민박 온돌 소형룸입니다. 민박이여서 간단한 취사도구와 텔레비젼, 냉장고, 밥솥, 에어컨, 간단한 식기 등이 있습니다. 안에 물은 없습니다. ㅋㅋ 소형룸 온돌방에서 남자 셋이서 하룻밤 잤는데 메트리스를 펼치면 공간이 많이 남지는 않습니다. 매트리스와 베게 이불은 4개가 비치되어 있고 별도의 옷장은 없습니다. 송정 우체국 옆에 넓은 주차장이 넓은 곳이고 바베큐도 가능하다곤 하는데 겨울에는 안먹는 것 같습니다. 뉴송정콘도민박은 가..
안동찜닭의 원조 중앙찜닭 안동찜닭의 원조라고 써있는 중앙찜닭 진짜 원조인지는 모르겠네용 ㅋㅋ 최근엔 VJ 특공대에서 촬영을 해갔다고 하는데... 이 근처 찜닭은 다 한 번씩 매스컴을 탄 집들이 많습니다. ㅎㅎ 중앙찜닭의 메뉴판 찜닭, 치킨 등을 판매하고 있는데 다른 찜닭 집들의 메뉴도 비슷합니다. 중앙찜닭의 찜닭은 25000원입니다. 대,중,소 이런게 없어서 여성분들끼리 오시면 많이 남기십니다. 안동찜닭골목의 중앙찜닭은 매운맛을 조절가능한데 보통맛으로 먹었습니다. ㅎㅎ 보통맛은 맛있게 매운정도네요 찜닭골목은 상가라서 주변에 주차하기 힘드니 공영주차장에 주차하세요~ 공영주차장 비용은 1시간당 1000원 !
부산 광안리에서 먹었던 대구탕 부산 광안리에 일출 보러 가서 일출보고 먹었던 대구탕 ^^ 친구녀석이 부산 대구탕이 맛있다고 맛있다고~~ 노래를 불러서 먹은 대구탕 반찬은 그냥그냥 보통 반찬수준입니다. 대구탕은 맑게 나옵니다. 대구탕을 찌개로 매콤하게만 먹어서 ^^ 그런 비주얼로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맑은 국물이였지만 먹을만 합니다. 대구탕 가격은 한 그릇에 만원이였습니다. 대구의 양은 생각보다 많이 있었습니다. ㅎㅎ
해동용궁사 5D Mark3 sigma 17-35mm 해동용궁사 5D Mark3 sigma 17-35mm 5D Mark3 sigma 17-35mm 해동용궁사 5D Mark3 시그마 17-35mm 해동용궁사 5D MarkIII 시그마 17-35mm 해동용궁사 오막삼 해동용궁사 해동용궁사 오막삼
경기전 5D Mark3 sigma 17-35mm 경기전 5D Mark3 sigma 17-35mm 5D Mark3 sigma 17-35mm 경기전 경기전 5D MarkIII sigma 17-35mm 경기전 5D 오막삼 sigma 17-35mm 5D 오막삼 시그마 17-35mm 경기전
8월의 크리스마스 촬영지 초원사진관/5D Mark 3 sigma 17-35mm 8월의 크리스마스 촬영지 초원사진관/5D Mark 3 sigma 17-35mm 오막삼 8월의 크리스마스 촬영지 초원사진관 5D Mark3 sigma 17-35mm 8월의 크리스마스 촬영지 초원사진관
내가 사랑한 대한민국 전주 한옥마을 오목대 전주 한옥마을의 관광코스 중의 하나인 오목대 오목대는 언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ㅎㅎ 오목대의 입장료는 없습니다. 주변에 주차 공간이 협소하니 주말에는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전라북도 기념물 제16호인 오목대는 한옥마을에서 올라가는 방향과 뒷 편으로 올라가는 방법이 있는데 전 뒷 편으로 올라가는 길로 올라갔습니다. ㅎㅎ 오목대와 이목대를 연결하는 구름다리 오목대라는 이름의 유래는 네이버에서 찾아봤습니다. ㅋㅋ 오목대 정상은 1380년(고려 우왕 6)에 남원의 황산에서 왜구를 물리치고 돌아가던 이성계(李成桂, 1335~1408) 장군이 이곳에서 승전 잔치를 베푼 곳입니다. 조선왕조를 개국하고 나서 여기에 정자를 짓고, 이름을 오목대(梧木臺)라 했다는 설과 이곳에 오동나무가 많았기에 언덕의 이름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