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내가 사랑한 대한민국 강화도 고려궁지/강화도 고려궁지/강화도 외규장각/고려궁지/외규장각/ 강화유수부이방청/강화유부수동헌

반응형

 

내가 사랑한 대한민국 강화도 고려궁지/강화도 고려궁지/강화도 외규장각/고려궁지/외규장각/ 강화유수부이방청/강화유부수동헌

 

고려궁지는 입장료가 있습니다.

 

고려궁지 앞에는 작은 주차장이 있고 밑에 내려가면 넓은 주차장이 별도로 있습니다.

 

 

고려궁지 계단입니다.

 

 

고려궁지 사적 졔133호

 

 고려는 고종 19년(1232) 몽고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하여 최우의 권유로 도읍을 송도에서 천혜의 요새인 강화도로 옮겼습니다.

 

이때 옮겨진 도읍터가 고려궁지로 원종 11년(1270)  개성으로 환도할 때까지 39년간 사용되었습니다.

 

고려궁지는 송도 궁궐과 비슷하게 만들어졌고, 궁궐 뒷산 이름도 송악이라 하여 왕도의 제도를 잊지 않으려 하였다고 합니다.

 

1637년 병자호란 시 강화성이 청나라 군대에게 함락되는 등 여러차례 전란을 겪으면서 궁궐과 성은 무너지고 말았습니다.

 

 

강화유수부동헌 인천광역시 유형무화재 제25호

 

조선시대 관아의 건물로서 강화지방의 중심업무를 보던 동헌은 오늘날의 군청과 같습니다.

 

영조 45년(1769)에 유수 황경원이 현윤관이라 이름으로 붙였으니 현재는 명위헌이란

 

현판이 걸려있으며, 글씨는 당시의 명필이며 학자인 백하 윤슌이 썻다고 합니다.

 

건물은 정면 8칸, 측면 3칸, 겹처마에 단층 팔작지붕이며, 2중의 장대석 기단위에 네모꼴의

 

주초석을 놓고 네모로 다듬은 기둥을 세웠습니다.

 

 

외규장각

 

조선 정조 때 왕실 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강화도에 설치한 도선관으로,

 

왕립도서관인 규장각의 부속 도서관 역할을 하였습니다.

 

 

설치 이후 왕실이나 국가 주요 행사의 내용을 정리한 의궤를 비롯한 왕실 관계 서적을 보관하였습니다.

 

1866년(고종 3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강화도를 습격하면서 의궤를 포함한 서적 등을 약탈하였으며, 나머지는 불에 타 없어졌습니다.

 

 

 

정조대왕의 행차도 모형등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내부에는 우리의 역사적인 물건들을 사진이나 모형으로만 볼 수 있다는게

 

너무 안타깝습니다.

 

 

 

강화동종

 

 

 

강화동종 (보물 제 11-8호)

 

조선시대 강화성문의 여는 시간과 닫는 시간을 알리는데 사용하였던 종입니다.

 

높이가 186cm, 입지름이 138cm 입니다.

 

종 꼭대기는 용무늬로 조각되었고 한국종의 특샌인 음통이 없습니다.

 

종 중앙에는 두 줄의 횡선을 둘러 상,하로 2등분 하였으며 어깨부분에는 꽃무늬로 유곽대가 있고

 

그 안에 9개의 연꽃이 새겨져 있습니다.

 

횡선 아래로는 종 입구 바로 위에 꽃무늬를 새긴 넓은 띠가 있을 뿐 다른 장식은 하지 않았으며,

 

만든 시기를 알 수 있는 글이 남아 있습니다.

 

종 중앙을 띠로 장식하는 것은 고려시대와는 다른 조선시대 문화의 특징이라 하겠습니다.

 

 

고려궁지에 대한 설명은 안내책자에서 보고 쓴 내용입니다.  ^^

 

강화부유수부이방청은 이날 공사중이여서 직접보지를 못했습니다.

 

 

고려궁지 입장료 성인 900원

 

개방시간 오전 9시 부터 오후 6시 까지 입니다. 연중무휴라고 하네용 ㅋㅋ

 

큰 곳이 아니라서 잠깐 들러서 구경하기에 무리는 없는 곳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