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랑한 대한민국 강화도 전등사
전등사는 강화도에서 제일 유명한 곳입니다.
전등사는 입장료도 있고 주차료도 받고 있습니다.
주차료는 2000원 정도 합니다. 식당에서 식사한다고 주차비를 면제 해주거나 하지 않습니다. ㅜㅜ
전등사 입장료 3000원
전등사의 역사 ^^
강화도는 섬 자체가 우리나라 역사의 축소판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선사 시대의 고인돌 유적부터 단군왕검의 얼이 담긴 마니산, 고려 때의 대몽항쟁과 팔만대장경 조성, 서양 세력과 처음으로 전투를 벌였던 ‘병인양요’에 이르기까지 강화도의 역사는 곧 한민족의 역사나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지금도 강화도는 역사와 문화의 섬으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강화도에는 전등사를 비롯해 유서 깊은 사찰도 많이 터 잡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호국불교 근본도량인 전등사와 전등사보다 300여 년 후에 세워진 보문사 및 정수사가 손꼽힌다.
전등사는 현존하는 한국 사찰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졌으며, 부처님의 가피로 나라를 지킨 호국불교 근본도량으로 역사와 권위를 간직한 사찰이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기록된 바와 같이 삼랑성은 단군이 세 아들(三郞)을 시켜 쌓았던 고대의 토성이었고, 삼국시대에는 토성 자리에 석성을 쌓아올려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삼랑성 안에 자리 잡은 전등사는 세 발 달린 솥을 거꾸로 엎어놓은 모양을 가진
정족산(鼎足山)과 더불어 강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문화 유적으로 유명하다.
전등사가 창건된 것은 서기 381년(고구려 소수림왕 11년)으로 전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 불교가 처음으로 전래된 것이 서기 372년이므로 지금은 그 소재를 알 수 없는 성문사, 이불란사(375년 창건)에 이어
전등사는 한국 불교 전래 초기에 세워진 이래,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도량임을 알 수 있다.
처음 전등사를 창건한 분은 진나라에서 건너온 아도 화상이었다. 당시 아도 화상은 강화도를 거쳐 신라 땅에 불교를 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도 화상이 강화도에 머물고 있을 때 지금의 전등사 자리에 절을 지었으니 그때의 이름은 ‘진종사(眞宗寺)’라 하였다.
강화도 전등사 동문으로 올라가시면
삼랑성을 만날 수 있습니다.
삼랑성 동문으로 올라가면 작은 입구를 통해서 전등사를 들어가 실 수 있습니다.
전등사는 산속 깊이 위치한 편이라서
많이 들어가셔야 됩니다.
전등사
강화도 전등사에 대웅보전 내부 모습 ^^
강화도 전등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조선 광해군 15년(1623)에 수연(守衍)이 수화승(首畵僧, 우두머리 조각승)으로 참여하여
1623년에 조성한 불상으로 원만한 상호와 양감.균형감.조각 솜씨가 뛰어난 목조불상이다.
삼존불은 삼세불(三世佛)이라고도 하며, 법신(法身)보신(報身)화신(化身)의 세 분의 부처님을 말하는데
현세불인 석가여래. 약사여래. 아미타여래를 모시기도 하고 과거.현재.미래불을 함께 모셔 삼존불이라고도 한다.
주불인 석가모니불의 높이는 125cm이고 무릎폭은 88cm로 원만한 얼굴에 유난히 큰 귀를 하고, 당당한 어깨와 가슴, 항마촉지인의 수인을 한 채 결과부좌하고 있다. 신체는 우견편단의 법의를 걸치고, 가슴께에는 군의를 묶은 자락 위에 3개의 꽃잎 모양을 보이고 있다.
연꽃이 피어 있는 모습
전등사 대웅보전의 모습입니다.
보물 제178호로 지정된 대웅보전은 규모는 작지만 단정한 결구에 정교한 조각 장식으로 꾸며져서 조선중기 건축물로서는 으뜸으로 손꼽힌다.
특히, 건물 내부 불단위에 꾸며진 닫집의 화려하고 정치한 아름다움은 건축공예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보마다 용틀임으로 장식되면서 용두가 네 귀퉁이에서 돌출해 나오며 천장 주변으로는 연, 모란, 당초가 화려하게 양각되고
중앙 우물 반자 안에는 보상화문이 가득 채워져 있다.
더욱 희귀한 것은 물고기를 천장에 양각해 놓아 마치 용궁인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한다.
닫집 왼쪽 천장에는 양쪽에 용두장식을 하고 몸체에
용틀임을 한 작은 용가(龍架)의 배 부분에 아홉 개의 방울을 달아 놓고 끈을 달아 불단까지 늘여놓아 이를 잡아 흔들면 아홉 개의 방울이 동시에
울어 구룡토음의 장관을 이루게 했던 적도 있었다.
내부에 있는 유물로는 석가여래 삼존과 1880년에 그린 후불탱화, 1544년 정수사에서 개판한<법화경>목판 104매가 보관되어 있다.
현재의 건물은 1621년(광해군 13)에 지은 정면 3칸, 측면 3칸 형식의 목조 건물이다.
정면 3칸은 기둥과 기둥 사이를 같은 길이로 나누어
빗살문을 단 형식이다. 좌우 옆면은 벽이나 앞 1칸에만 외짝으로 문이 있다.
기둥은 대체로 굵은 편이며 모퉁이 기둥은 높이를 약간 높여서 처마 끝이 들리도록 했다.
대웅보전의 외관상 특징은 우선 비슷한 시기의 다른 건물에 비해 약간의 변화를 보여 주고 있다는 점이다.
곡선이 심한 지붕과 화려한 장식(나부상, 동물 조각, 연꽃 조각 등)이 그런 특징을 잘 보여 준다.
보물 제393호로 지정된 전등사 범종은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종과는 그 형태가 판이하다.
이 종은 1097년 중국 하남성 숭명사에서 조성된 것으로 음통이 없으며 겉에 상ㆍ중ㆍ하로 구획이 지어져 띠가 둘려 있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또 표면에 8개의 네모진 구획이 마련되어 글씨가 새겨져 있는데 많이 마멸되어 판독하기가 어렵다.
이 종은 기하학적 무늬로 장중하고 소박한 중국 종의 솜씨를 보이며 종소리가 맑고 아름다운 게 특징이다.
이 종은 일제 말기 군수 물자 수집에 광분한 일제가 공출이란 명목으로 빼앗아 가는 바람에 한때 전등사를 떠나기도 했다.
하지만 광복 이후 부평 군기창에서 발견되어 다시 전등사로 옮겨왔다.
강화도 전등사 약사전
보물 제179호로 지정된 약사전은 대웅보전 서쪽에 위치하는 건물로 대웅보전과 거의 같은 양식의 건물이다.
조선 중기 다포계열의 정면 3칸, 측면 3칸 단층 팔작지붕 건물이다. 장대석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약한 배흘림이 있는 기둥을 설치하였으며, 정면 각 기둥 위에는 공포를 배열하고,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공간포(기둥과 기둥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공포)를 설치하였다.
내부 천장은 중앙 부분에 우물천장을 두고 주위에는 빗천장을 만들었으며, 거기에 돌아가면서 화려한 연화당초문을 그려 놓았다. 대웅보전과 함께 지붕을 수리했다는 기록 말고는 다른 기록이 없어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 수 없다.
건물의 겉모습이나 내부 장식도 대웅보전과 비슷하다. 고려 말기나 조선 초기에 석조로 조성한 약사여래상을 모시고 있다.
이 약사여래불은 최근 금박으로 개금되어 있다.
삼랑성 남문 종해루 / 강화도 남문
강화도 전등사 지도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주 풍년제과 초코파이/풍년제과 초코파이/풍년제과 초코파이 가격 (0) | 2014.10.11 |
---|---|
내가 사랑한 대한민국 강화도 마니산/강화도 마니산/마니산/마니산 입장료 (0) | 2014.10.10 |
내가 사랑한 대한민국 강화도 고인돌/강화 지석묘/고인돌/지석묘/강화 지석묘 세계문화유네스코 (0) | 2014.10.05 |
제17회 아시안게임 축구 8강전/아시안게임 축구 한일전/아시안게임 페널티킥/ 아시안게임 문학경기장 / 아시안게임 축구 매진 (0) | 2014.09.28 |
내가 사랑한 대한민국 해남 땅끝전망대/해남 땅끝전망대/해남 볼거리/해남 당일코스/해남 땅끝전망대 입장료 (0) | 2014.09.28 |